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경제 질서를 새롭게 짜기 위한 노력의 산물

​1944년, 미국 뉴햄프셔주 브레튼우즈에서 열린
 44개국의 국제회의에서 만들어진 국제 통화 체제를 브레튼 우즈 체제라고 합니다.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붕괴된 세계 경제의 안정과 회복를 회복하고, 
앞으로 다시는 전쟁과 같은 경제적 혼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시스템이죠.

브레튼 우즈 체제의 핵심:
달러화 금태환제: 미국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삼고 금으로 바꿀 수 있도록 
고정 환율제(금본위제)를 채택했습니다. 즉, 1달러는 일정량의 금과 가치가 같다고 
정한것입니다. 이를 통해 달러화의 가치를 안정시키고, 국제 거래를 활성화하려는 목적이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IBRD) 설립
 국제 금융 시스템을 안정시키고,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IMF와 세계은행이 설립되었습니다. IMF는 회원국들의 국제수지를 감시하고, 필요한 경우 
자금을 대출해주는 역할을 맡았고, 
세계은행은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건설 등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환율 조정 가능성: 원칙적으로 환율은 고정되어 있었지만, 
국제수지의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상하 1% 범위 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브레튼 우즈 체제 개념도 
브레튼 우즈 체제의 의의와 붕괴
장점: 세계 경제의 안정과 성장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달러화의 가치가 안정되면서
 국제 무역이 활성화되었고,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에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단점: 미국의 경제 상황에 따라 다른 나라들의 경제가 크게 영향을 받았습니다. 
또한, 미국이 베트남 전쟁 등으로 인해 
금 보유량이 감소하면서 달러화의 가치를 유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붕괴: 결국, 1971년 미국이 금과의 환전을 중단하면서 사실상 붕괴되었습니다. 

이 결정은 베트남 전쟁으로 인한 막대한 전쟁 비용과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 확대가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이후 각국은 

자유로운 환율 체제로 전환하게 되었습니다


브레튼 우즈 체제의 유산
비록 붕괴되었지만, 브레튼 우즈 체제는
 오늘날 국제 금융 시스템의 기본 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체제 하에서 미국은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고, 달러는 국제 거래에서 주요 통화로 사용되었습니다
 IMF와 세계은행은 여전히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달러화는 여전히 세계 기축 통화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